THE DAY


우리가 흔히쓰는 말들중에 맞춤법이 잘 생각이 나지않는 단어들이 종종 있다고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내,네 및 대,데 등을 꼽을수가 있는데요


국어 공부를 한지 너무 오래지나다 보니 알고 있으면 서도 가끔 이단어가 맞는건지 자신에게 물어보고 정말 확실한 정답을 얻고 싶은경우는 인터넷을 통하여 확답을 얻어가곤 합니다.


하지만 한번만 잘 알아두면 오래 기억할수 있는 방법이 있어서 안내해 드리고자 합니다.

맞춤법 표기를 잘못하여 난처한 상황에 직면하거나 창피를 당하는 일이없이 이번기회에 잘 알아두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우선 대와데를 구분하는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서, 내가한 말인지 남의이야기를 전해주는 이야기인지의 구분, 일반문인지 아니면 의문형 문장인지에 따른구분 이렇게 나뉘어질수가 있는데 지금부터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어사전에 올라온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것을 확인할수가 있습니다.

대와데의 쓰임을 조회한 사람만 거의 40만이 되는걸 보면 정말 우리가 혼동하기 쉬운 단어가 아닐까 생각이 드는것 같군요.


두단어를 구분할때 가장 중요한 것은 직접의 의미이냐 간접의 의미이냐를 따져보는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가령 예를들어 다른사람이 한 말을 듣고와서 내가 누군가에게 다시 전달할때의 경우 데보다는 대라는 말이 맞는 표현입니다


오빠가 캡틴마블 영화 정말 재밌대


반대로 누군가에게 들은 이야기가 아닌 내가 경험한 사실을 전달할때는 데라는 표현이 맞다고 합니다


저번주에 그영화 봤는데 재밌데






잘 이해가 안가면 좀더 쉬운 방법도 있습니다


대는 다고해의 준말이라고 합니다

데는 더라의 준말이라고 하죠


그렇기 때문에 대의 위치에 다고해를 넣었을때 자연스러운 문장이 된다면 대가 맞다고 할수 있습니다.

반대로 데의 위치에 더라를 넣었을때 자연스럽다면 그 또한 맞는 표현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오빠가 그 음식점 맛이없대/데 


1)오빠가 그 음식점 맛이 없다고해

2)오빠가 그음식점 맛이 없더라


위의 두표현중에서 어떠한 표현이 자연스러울까요??  당연히 1번의 표현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1번 표현은 남의 이야기를 전달한 표현이기 때문에 대가 맞기도 하지만 다고해라는 단어를 넣었을때도 자연스러운 것을 느낄수 있습니다




아침에 뉴스보니 내일 날씨가 춥대/데

1)아침에 뉴스보니 내일 날씨가 춥다고해

2)아침에 뉴스보니 내일 날씨가 춥더라


위의 표현 중에서는 2번이 더 자연스럽지 않나요? 앞서 이야기 할떄 자신이 직접 경험한 사실을 이야기 할때는 데라는 표현이 맞다고 말했던거 기억나시죠? 뿐만 아니라 다고해 와 더라를 넣었을때도 더라라는 단어가 훨씬 잘 어울린것을 보면 2번이 바른 표현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한가지 더 말씀 드리면 대화중에 누군가에게 물어보는 형식의 의문문이라면 대라는 표현이 맞습니다.


오빠 그영화 재미있대? 

엄마 아빠 늦게 오신대?

이러한 의문형의 문장은 대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그리고 데의 경우 장소나 상황등을 표현하는 문장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제주도 가서 일출봉 가는데 너무 힘들더라

갤럭시 핸드폰 사러갔는데 엄청 비싸데 


위와같이 상황이나 상태 또는 장소를 표현할때의 경우에는 데가 적절한 표현이란것을 알아두시면 됩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임에도 불구하고 매번 사용할때마다 많이들 착각하셨죠?

이번기회에 대와데 구분하는법 차이를 자세히 알아두시면 앞으로는 걱정안하실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